42학점 초과한 교양학점은 졸업학점에 미포함
“첨성인 기초” 중 ‘독서와 토론’, ‘사고교육’, ‘글쓰기’ 중 3학점 이상 이수하여야 한다. 다만, ‘실용영어’ 및 ‘소프트웨어’는 졸업자격인정규정을 따라야 한다.
“첨성인 핵심” 중 ‘인문·사회’영역에서 3학점 이상, ‘자연과학’영역에서 3학점 이상 이수하여야 한다.
“첨성인 기초” 및 “첨성인 핵심”영역의 과목은 반드시 본교에서 개설한 과목이어야 한다.
실용영어, 소프트웨어, 학생상담지도교수의 상담 및 전공영역을 이수하여 졸업학기에 졸업자격인정원 및 각 증빙서류를 학과사무실로 제출(접수기간은 별도 공지)
대체 과목명 |
---|
CAD(MECH522), C프로그래밍(COME200), C프로그래밍과실습(EECS201), ICT이해와활용(SOFT301), IT융합형스마트텍스타일(DYFI497), IT지식재산권(ITEC403), IT프로젝트관리(MGMT435), R프로그래밍실험(STAT248), SciArt들여다보기(CLTR255), WebGIS프로그래밍(AERO230), 건설CAD1(CDEE201), 경제경영통계학(ECON641), 고급인지신경실습(PSYC439), 공간정보프로그래밍1(AERO219), 공간정보프로그래밍2(AERO224), 공학프로그래밍및실습(PMEN287), 공학프로그래밍언어(ENGR217), 관광연구방법론(ECOT316), 관측천문학교육및실습(ESED636), 그래픽프로그래밍언어(META219), 기계제도및CAD(AMEN264), 기초컴퓨터그래픽1(VICD217), 기초컴퓨터그래픽2(VICD218), 기초프로그래밍(COMP206), 데이터베이스입문(MGMT401), 데이터베이스활용론(LIBR458), 도시지리정보시스템및실습(GEOG529), 디자인CAD(CLTX362), 디지털논리회로(SOFT311), 디지털미디어아트(COMP435), 디지털스토리텔링(GEOG338), 데이터베이스입문(MGMT401), 마이크로프로세서및실습(AMEN443), 매스컴통계학(COMM354), 매체연구1(ARTS363), 매체연구2(ARTS364), 사회복지와정보활용(WELF487), 생물정보학입문(BIOT511), 수리계산론(MATH408), 수리적빅데이터개론(MCIM504), 수치해석(SATAT452), 수치해석학입문(MATH427), 심리실험과컴퓨터실습(PSYC596), 심리통계및실습(PSYC218), 어패럴CAD(CLTX427), 외식소비자행동분석및실습(FOSE327), 운영체제(COMP312), 웹프로그래밍의기초(LIBR464), 유비쿼터스정보와미래사회(CLTR687), 응용전산프로그래밍및실습(CVLE318), 이산수학입문(MATH253), 인문지리분석법(GEED528), 인터넷기술이론및실습(HOED412), 인터넷정보활용(CLTR598), 자료구조(COME331), 자바프로그래밍(COMP217), 전산기계제도및실습(PMEN283), 전산대기과학및실습(ASAT575), 전산물리학및실습(PHYS454), 전산수치해석및연습(PMEN271), 전산천문학및실습(ASAT226), 전산프로그래밍(AUTO223), 정보기술(HOED411), 정보사회의이해(CLTR099), 정보사회학(SOCI352), 정보사회학실습(SOCI592), 정치학방법론실습(POLI313), 지리정보론및원격탐사론(GEED414), 지리정보시스템개론(GEOG435), 컴퓨터구조(COMP411), 컴퓨터그래픽실습(LARC260), 컴퓨터기술(HOED410), 컴퓨터망(COMP414), 컴퓨터이용정밀기계가공및실습(PMEN267), 컴퓨터이용정밀기계설계(PMEN262), 컴퓨터텍스타일디자인(FASH218), 컴퓨터패턴디자인(FASH214), 컴퓨터학개론(ITEC201), 컴퓨터활용(CLTR198), 콘텐츠산업과창업(CLTR746), 통계패키지및실험(STAT313), 통신기술(HOED407), 프로그래밍언어(CHEN241), 프로그래밍언어1(SOFT321), 프로그래밍언어2(SOFT322), 프로그래밍언어및실습1(SEEE241), 프로그래밍언어및실습2(SEEE242), 프로그래밍언어실습(PLEN251), 프로그램개발과평가(WELF422), 행정계량분석(PUAD322) |
[ 전산관련자격증 ]
시행기관 | 자격증 종류 |
---|---|
대한상공회의소 | 워드프로세서, 전자상거래관리사, 컴퓨터활용능력, 전자상거래운용사, 컴퓨터운용사, IT Plus |
한국산업인력공단 | 전자계산기기능사, 전자계산기기사, 전자계산기기술사, 전자계산기산업기사, 사무자동화산업기사,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, 전자계산기조직응용산업기사, 전자계산조직응용기술사, 정보관리기술사, 정보기술산업기사, 정보처리기능사, 정보처리기사, 정보처리산업기사, 정보기기운영기능사, 정보통신기사, 정보통신산업기사 |
YBM IT | MOS, IC3, MTA |
한국생산성본부 | ITQ(아래한글, 엑셀, 파워포인트), ERP정보관리사, ICDL |
한국정보관리협회(OA) | 문서실무사 3급이상, 사무자동화 3급이상, 한글전자문서 및 영문 3급이상, 컴퓨터활용능력 |
한국능률협회 | 정보검색사, 네트워크전문가, 웹마스터전문가, 웹페이지전문가 |
한국정보통신인력개발센터 (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) |
인터넷정보검색사전문가, 인터넷정보검색사, 인터넷시스템관리사, 인터넷정보설계사 |
한국정보통신자격협회 | 인터넷보안전문가, 정보소양, PC정비사, 네트워크관리사 |
한국전산원 | 정보시스템감리사 |
한국정보기술연구원 | 웹프로그래머(WPC) |
정보통신컴퓨터자격관리협회 | PC정비사, Network Master, Server Master, 정보보안관리사, 인터넷검색사 |
기타 | 그 밖의 컴퓨터업체 등에서 인증하는 국․내외 전산관련 자격증으로 총장이 인정하는 자격증 |